Play Store (7) 썸네일형 리스트형 Play스토어 ASO 전략 (App Store Optimization) 안녕하세요 Play스토어에 앱을 출시하고 나면 어떻게 유저를 모객할까가 가장 중요한 상황이 됩니다. Google Ads 의 앱 캠페인을 통해 유저를 모객하는 방법이 가장 간단하지만, 기초 체력을 높일 수 있는 Organic search (구글플레이 검색)를 통해 유저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Play console 에서 '기본 스토어 등록정보' 는 기본적으로 등록하고 계실 텐데, 각각의 요소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1. 앱 이름 (30자 이내) 2. 간단한 설명 (80자 이내) 3. 자세한 설명 (4천자 이내) 4. 그래픽 이미지 1. 앱 이름 (30자 이내) - 앱 이름 안에 앱을 설명하는 카테고리 또는 검색어가 들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2. 간단한 설명 (80자 이내) - 한눈에 .. Play 앱 출시를 위한 비공개 테스트 → 프로덕션 액세스 신청하기 [이전 글] [정책] Play Store - 새로운 개인 개발자 계정의 앱 테스트 요구사항 Play 비공개 테스트 (앱 출시를 위한 새로운 요구사항) 안녕하세요 작년 11월부터 새로 생긴 Play 정책으로 개인 개발자들의 신규 계정에 대해 앱 정식 출시전 비공개 테스트 (베타 테스트) 14일을 완료해야 프로덕션 (정식 출시)이 가능해졌습니다. 처음 이 정책이 생겼을 때, 반응은 1) Play 앱 생태계의 퀄리티를 높이기 위한 조치, 2) 개인 개발자가 앱 비즈니스를 하기 어려워질 것 등 다양한 예측이 있었습니다. 개인 개발자에게 상당한 제약인 것이 20명을 모으고, 이들이 14일 연속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고, 또 피드백까지 전달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가족과 친구 등 지인들에게 부탁하여 진행하는 .. [정책] Play 정책 업데이트 확인 채널 (Policy Bytes, 정책센터) 안녕하세요 개인이 앱을 통해 부업을 하는데 가장 큰 악재는 Play 정책 위반으로 인한 앱의 삭제 또는 개발자 계정의 정지 등일 것이다. 공들여 만든 앱이 한순간에 사라지고, AdMob을 통한 광고수익을 추후 정산 받지 못할 가능성도 커진다. 따라서 Play 정책은 꼭 지켜야 하고, 이메일로 정책 위반과 관련된 메일이 온다면 최우선으로 이를 처리 해야 한다. 보통 1~2주 정도 기간을 주고 정책 위반 사항을 알려준다. 구글링 하면 유사한 위반 사례가 많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반영해야 한다. 동시에 메일 하단에 포함된 고객센터를 통해 수정사항에 대해 좀더 자세한 질문을 하는 것도 필요하다. 기계적으로 메일이 오는 만큼 첫 메일 안에는 자세한 위반 사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P.. Firebase - Test Lab 지원기기와 테스트 결과 ※ 이전 글 : Android Vitals, Firebase Test Lab 활용하기 안녕하세요 지난 번에 Android Vitals, Firebase Test Lab 활용하기 에 대해 포스팅했었는데, Firebase Test Lab 을 진행하는 세부적인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irebase Test Lab 에 대한 공식소개 영상은 여기 있습니다. (링크) 기본적으로 무료로 제공되는 기능인데, 일일 제한 테스트 제한이 있습니다. 실제 기기는 5회, 가상 기기는 10회까지 가능합니다. 만약 추가적인 비용을 낸다면 할당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먼저, 테스트 실행을 클릭하고, 테스트 유형으로 Robo를 선택 합니다. 테스트 유형으로 계측, 게임 루프 등이 있는데 Robo는 기본적으로 앱 내 메뉴를 .. Android Vitals, Firebase Test Lab 활용하기 앱의 퀄리티는 이제 Play 스토어에서 노출과도 직결된다. (Android Vitals - App Quality) 사용자 인식 비정상 종료 발생률과 사용자 인식 ANR 발생률이 핵심 Vital 인데, 이 값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Play 에서 앱을 검색했을 때 노출되는 순위 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핵심 vitals는 Play에서 타이틀의 검색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앱 또는 게임이 핵심 vitals의 전반적 비정상적인 동작 기준을 초과하면 Play에서 모든 기기 모델 사용자를 대상으로 타이틀의 검색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앱 또는 게임이 특정 기기 모델에서 핵심 vitals의 기기별 비정상적인 동작 기준을 초과하면 Play에서 해당 기기 모델 사용자를 대상으로 앱 또는 게임의 검색 .. Play 비공개 테스트 (앱 출시를 위한 새로운 요구사항) 새로운 정책에 따라 '23년 11월 이후 생성된 개인 개발자 계정은 앱을 출시하기 위해 '비공개 테스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1. 테스터 모집 기본적으로 가이드처럼 테스터를 직접 모집해야 합니다. 가이드에 따르면 개인 및 전문 네트워크를 활용하라는데.. 가족, 친구 등에 부탁하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20명을 모으기란 쉽지 않습니다. 2. 테스터 등록 Console 비공개 테스트 메뉴에 들어가면 테스터 탭이 있습니다. 1) 테스터들의 gmail 계정을 등록할 수 있는데, 동시에 20명이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면 시작 시점에 따라 '이메일 목록' 그룹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편이 좋습니다. ※ gmail 계정으로 등록하는 편이 좋습니다. naver 메일 계정은 확인이 필요해보였습니다. 2) '이메일 목록' 그룹.. [정책] Play 앱 출시 - 새로운 개인 개발자 계정의 앱 테스트 요구사항 ※ 다음 글 : Play 비공개 테스트 (앱 출시를 위한 새로운 요구사항) Google Play에 새로운 앱을 게시할 때 새로운 앱 테스트 요구사항이 발표되었습니다. 이제 '23년 11월 이후 새롭게 생성한 개인 계정을 사용하는 개발자는 '비공개 테스트' 요구사항을 충족해야만 Google Play에 앱을 게시할 수 있습니다. (Play 정책 링크) 변경된 정책에 따르면, 개인 개발자는 최근 14일 동안 지속적으로 테스트에 참여하는 20명 이상의 테스터를 대상으로 비공개 테스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20명의 테스터를 직접 모으고 이들이 14일 동안 테스트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다소 개인 개발자들에게는 높은 허들이 되어 보입니다. Play 내 등록된 앱들의 퀄리티를 높이기 위한 조치가 아닐까 생각이 되네요... 이전 1 다음